증여받은 재산, 언제 상속재산에 포함될까? – 상속세 기준 완벽 정리 (2025 최신)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겉보기에는 단순한 증여처럼 보여도, 피상속인의 사망 시점과 증여 시점에 따라 상속세 과세 대상이 될 수도 있고, 제외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증여받은 재산이 상속재산에 포함되는 기준과, 실제 세금 계산 시 유의해야 할 핵심 포인트를 알기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1. 상속세 과세 기준일은 ‘피상속인 사망일’
상속세는 피상속인이 사망한 시점을 기준으로 과세됩니다. 즉, 피상속인의 사망일이 상속개시일이 되며, 이 시점을 중심으로 과거 일정 기간 내에 증여된 재산이 상속재산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상속인이 피상속인에게서 생전에 증여받은 재산이라면, 단순히 “증여니까 끝났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상속세는 증여와 상속을 연계해 과세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2. 상속인에게 증여한 재산 – 사망 전 10년 이내면 포함
피상속인이 사망하기 전, 자녀나 배우자 등 상속인에게 증여한 재산은 10년 이내 증여분부터 상속재산에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2017년에 증여받은 재산이 있고 2026년에 피상속인이 사망했다면, 10년이 지나지 않았으므로 해당 증여재산은 상속재산에 포함되어 상속세 과세 대상이 됩니다.
즉, 상속개시일(사망일) 기준 10년 이내 증여분은 모두 합산하여 상속재산으로 간주된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3. 제3자에게 증여한 재산 – 사망 전 5년 이내면 포함
상속인 외의 사람, 예를 들어 손주, 친구, 친척 등 제3자에게 증여한 재산도 일정 기간 내라면 상속재산에 포함됩니다.
이 경우 기간은 더 짧게 사망 전 5년 이내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즉, 피상속인이 제3자에게 사망 전 5년 이내에 증여한 재산은 상속세 계산 시 합산됩니다.
이는 상속세 회피를 막기 위한 장치로, 피상속인이 사망 직전에 자산을 제3자 명의로 이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4. 이미 증여세를 납부했다면?
만약 증여 당시 이미 증여세를 납부한 경우, 해당 세액은 상속세 계산 시 공제됩니다.
즉, 이중 과세를 방지하기 위해 증여세 납부 금액만큼은 상속세에서 차감된다는 의미입니다.
반대로, 증여세를 내지 않은 상태라면 그 재산은 상속세 과세 대상이 되며, 상속세 신고 시 함께 포함해 계산해야 합니다.
5. 10년 또는 5년을 초과한 증여는 제외
만약 상속인에게 10년을 넘기거나, 제3자에게 5년을 넘긴 증여라면 상속재산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즉, 피상속인이 사망하기 10년(또는 5년) 이전에 증여한 재산은 과세 대상에서 제외되어 상속세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장기적인 자산 이전을 계획한다면, 이러한 기간을 고려하여 증여 시점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 상속세 신고 시 유의사항
상속세를 신고할 때는 사망 전 10년간의 재산 변동 내역을 세무당국이 면밀히 검토합니다.
특히 가족 간의 증여 내역은 세밀히 조사되며, 증여계약서, 이체내역, 증여세 납부 영수증 등을 제출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증여받은 재산이 언제, 어떤 형태로 이전되었는지 명확히 정리해두는 것이 필수입니다.
7. 핵심 정리
-
상속인에게 증여: 사망 전 10년 이내 증여 시 상속재산 포함
-
제3자에게 증여: 사망 전 5년 이내 증여 시 상속재산 포함
-
증여세 납부: 이미 낸 경우 상속세 계산 시 공제
-
기간 초과 증여: 과세 대상에서 제외
즉, 증여받은 재산이 상속재산에 포함되는 핵심 기준은 “증여 시점과 사망 시점 간의 기간” 그리고 **“증여세 납부 여부”**입니다.
이 두 가지를 명확히 구분하면 상속세 신고 시 불필요한 불이익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생전 증여는 단순히 재산을 미리 나누는 행위가 아니라, 상속세와 직접 연결되는 세법상 행위입니다.
따라서 증여 시점부터 세금 계획을 세워두는 것이 현명하며, 필요하다면 세무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상속세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